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형개(형개, 형개초탄) 활용방법 및 유기재배

본문


형개 활용방법

▶ 1일 4~12g, 물에 달여 먹는다. 센불에 달여서 따듯할때 마신다. 감기 초기에 좋다. 

형개 4g(3년된 것) 물 600ml에 자작자작 잠긴 상태 끓이면 거품이 많이 발생 되어 넘치므로 지켜봐야 함 한번 끓인 상태의 색

 

형개초탄 활용방법

▶ 지혈제로 초탄(표면은 검게타고 내부는 황갈색으로 될때까지 볶음)후 가루내어 피나는 곳에 고루 바른다.  

 



형개(형개, 형개초탄)

Hyunggae(Schizonepetae Spica, Schizonepetae Spica Carbonisatum)

 

약재 기원 형개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한 한해살이풀인 형개 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 의 꽃이삭이다. 형개초탄은 형개를 타지 않도록 가끔 물을 뿌려주면서 쎈불로 겉면이 검은색, 내부가 그을린 노란색이 될 때까지 볶은 다음 꺼내어 건조한 것이다.

 

약재명 형개荊芥, 형개초탄荊芥炒炭

이용부위 꽃이삭

산지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개화기 8~9

채취 꽃이 필 때 또는 꽃이 핀 후 열매가 맺기 전에 이삭을 따서 그늘에서 말린다.

효능 투진透疹[(홍역, 두창, 반진, 구진, 수포진 등)이 돋아나는 독을 배설시켜 진자疹子가 쉽게 나오게 하는 치료법], 풍한표증風寒表證(풍사風邪와 한사寒邪가 겹쳐 겉에 침범한 증상)약으로서 땀내기, 감기에 쓴다. 피부질환용약, 소염배농약 처방에 배합하며, 산후의 중풍, 토혈, 혈변, 자궁출혈 등에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는 발한, 해열작용, 항균작용, 진통작용, 항염증작용, 중추신경계질환에 대한 영향을 준다.

생약의 특성과 품질규격(대한민국약전)
형개
이 약은 특유한 냄새가 있고 입속에 넣으면 약간 시원한 느낌이 있다.
회분 : 11.0% 이하
산불용성회분 : 3.0% 이하
엑스함량 : 묽은에탄올엑스 8.0% 이상
저장방법 : 밀폐용기

생약의 특성과 품질규격(대한민국약전외한약규격집)
형개초탄荊芥炒炭
이 약은 꽃대로 가늘고 긴 이삭모양이다. 바깥면은 회록색 내지 갈색, 검은색을 띠고 있으며 때때로 탄화된 자국을 볼 수 있다.
건조감량 : 5.0% 이하
회분 : 10.0% 이하
산불용성회분 : 3.0% 이하
엑스함량 : 묽은에탄올엑스 8.0% 이상
저장방법 : 밀폐용기

식물 전국 각지에서 재배하는 한해살이풀로 높이 약 60~100cm이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없거나 짧은 엽병이 있다. 꽃은 담자색 또는 엶은 담자홍색으로 8~9월에 피며 원줄기 윗부분에 층층으로 달리지만 끝에서는 층 사이가 짧기 때문에 이삭꽃차례같이 보인다.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곧게 서고 위쪽은 많은 가지를 친다.

형개(8.28,)

 

 

종자 특성

 

형개 종자 100립중 : 0.03g

형개 종자 100립의 크기와 양 형개 종자 두께 비교

보관이 잘 된 종자는 7년 후에도 발아가 잘 된다.

 

 

재배 환경

 

햇빛이 잘 들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잘 자라며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적당한 수분과 적당한 양분의 배수가 잘되는 모래참흙이 좋다. 너무 비옥하면 줄기와 잎만 무성해지고 꽃대가 크게 자라지 않아 좋지 않다.

 

 

재배 방법

 

거름주기 비옥도가 보통인 밭에서는 거름을 주지 않고 그대로 밭을 갈아 재배하지만 척박지에서는 1,000(300)당 퇴비 2,000kg을 넣어 준다.

이랑 만들기 정식 2~3일전에 이랑 폭 70cm, 고랑의 폭은 50cm로 만든다. 이랑에는 검은 비닐 피복을 하거나 정식 후 볏짚 등을 덮어주어 풀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고랑에는 60cm폭의 제초매트를 깔아 풀관리를 쉽도록 한다.

이랑 너비 70cm, 고랑 50cm 이랑당 2열재배(재식거리 40×20cm)

 

재배 방법 트레이 육묘 이식 재배로 번식이 가능하다. 직파재배도 가능하지만 풀관리에 어려움이 있어 주로 육묘이식재배를 한다.

트레이 육묘 이식 재배 4월 초순, 105구 트레이에 1구당 2~3립씩 파종하고 50일 정도 육묘 후 5월 중~하순경 키가 너무 크지 않을 때 정식한다. 정식간격은 줄 사이 40cm, 포기 사이 20cm로 한다.

직파 재배 줄 사이 간격을 25cm로 하여 줄뿌림한다. 복토는 종자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만 얕게 덮어야 출아가 쉽다. 남부지역에서는 4월 중순, 중북부지역에서는 4월 중~하순에 파종한다. 파종 후 짚 등으로 덮어주어 수분 유지를 꾀한다. 파종 후 10~15일 되면 싹이 올라오는데 이때 두둑 위에 덮어 주었던 볏짚은 고랑으로 내린다. 본엽이 2~3매가 되면 밀식된 곳을 솎아 주면서 김매기를 해준다.

329일 파종 14일 후 발아 시작(4.12) 파종 42일 후 생육(5.10)
파종 49일 후 생육(5.17) 파종 56일 후 생육(5.24)

 

트레이에서 오래 키운 모종을 옮겨 심으면 조기 개화된다. 조기 개화된 것들은 적심한다(6.5). 적심하면 잎 겨드랑이에서 새순이 나와 분지수가 많아진다(적심 1주일 후, 6.12).

 

적심 한 상태(7.7)

 

포장 관리 생육기에는 수시로 풀을 뽑아준다. 장마철에는 배수로를 정비하여 지나친 습해로 뿌리가 썩어 죽는 일이 없도록 한다. 씨를 받을 개체는 남겨 두고 6월 하순~7월 초순경 적심을 하면 분지수가 많아져 이삭이 많아진다.

병해충 관리 향이 있어서 크게 문제되는 병해충은 없다. 나방류애벌레에 의한 피해가 발생되기도 하는데, 천연살충제로 방제가 가능하다.

형개 수확시기에 이삭에 나방류애벌레 발생(9.5)

 

개화 초기(8.17), 꽃은 아래쪽부터 핀다.

 

개화(8.20)

 

수확된 이삭(9.3)

수확 이삭을 약으로 활용한다. 꽃대가 올라와 개화가 끝날 무렵, 8월 중~하순경 반 정도 결실되었을 때 전체를 낫으로 베어 낸다.

건조 낫으로 줄기째 베어 낸 후 짚 등으로 엮어서 그늘에서 건조하거나, 이삭만 잘라서 망사자루에 담아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 매달아 완전히 건조시킨다. 수확 전 이삭에 벌레가 알을 낳으면 건조중 벌레 피해가 발생되기도 하지만 그 외 완전히 건조된 형개는 몇 년을 저장해도 충해의 발생이 없어 품질이 쉽게 변하지 않는다. 상품은 회록색을 띤다. 그늘에서 60일 건조하면 건조수율은 약 27%이다.

줄기째 묶어서 그늘 건조 절단하여 망사자루에 담아 그늘 건조

 

건조중 충해 피해증상과 애벌레 집 애벌레 집 속 애벌레

 

씨받기 씨를 받기 위해서는 생육이 좋은 개체를 남겨 두어 10월 이후에 줄기째 또는 이삭만 베어 종자망에 담아 처마아래 메달아 건조시킨다. 완전 건조된 후 막대기 등을 활용해 털은 다음 선풍기나 키를 활용해 정선한 후 종자로 활용한다.

씨받기 적정 시기(10.18) 탈곡 후 선풍기 미풍으로 정선

 

저장 완전 건조된 것을 비닐봉지에 담아 밀봉하여 보관한다.

건조 후 절단 전 1cm 길이로 절단

 

형개

 

 

형개 활용

 

약재의 특징_찬바람을 물리치는 향기

약재 성질 맛은 맵고 성질은 따듯하며 깨긋한 향기로 가벼워서 폐에 이로운 작용을 한다. 입속에 넣으면 약간 시원한 느낌이 있다. 에도 이로운 작용을 한다. 맛은 맵되 강렬하지 않고 약성은 따듯하되 말리는 정도는 아니어서 성질이 비교적 화평하다. 바람과 찬 기운이 피부에 침범하여 나타난 감기 증상을 치료한다. 감기를 물리치는 풍한을 발산하는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는 약으로써 센불에서 얼른 달여서 약성이 강할 때 빨리 마셔야 한다. 형개와 방풍을 같이 쓰면 신경계 염증에 좋다. 형개는 시간이 지날수록 품질이 좋아지는 약(육진양약)으로 건조한 공간에서 보관해야 한다.

법제法製(약재로 사용하기 위한 가공 과정) 이물질을 제거하고 호풍해표祜風解表(두터운 바람에 의해 피부에 발생한 사기를 풀어주는 효능)에는 생용生用하고, 지혈止血에는 초탄炒炭(약물의 표면은 검게 타고 내부는 황갈색으로 될 때가지 볶는 것)하여 사용한다.

사용량 4~12g/1, 외용할 때에는 초탄한 것을 짓찧어서 환부(산후출혈, 대변출혈 등 피나는 곳)에 고루 바른다. 또는 달인 물로 씻는다.

주의사항 열이 나며 찬 기운을 싫어하는 병증이 있는 사람, 혈이 부족하여 열이 나거나 음이 부족하여 화기가 심해 머리와 눈에 통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하지 않는다. 소양인 체질에 좋다.

 

한방에서는


구풍일자산  벌레가 기어 다니는 듯이 눈이 몹시 가려운 것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재료 : 형개, 천궁, 천오(구운 것) 각각 18.75g, 강활, 방풍 각각 9.375g
재료들을 가루 내어 한번에 7.5g씩 박하를 달인 물에 타서 식사 후에 먹는다.


방풍형개감초탕  호흡곤란, 호흡촉박, 바람을 쐬지 않아도 추위를 느끼는 증상, 전신에 열이 나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재료 : 형개, 방풍, 감초 각각 같은 분량
재료들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


형개산  감기를 치료하는 처방이다.
재료 : 적당량 가루로 만든다.
한 번에 5~8g씩 더운물과 함께 하루 2~3번 먹는다. 차조기잎을 섞어 쓰기도 한다.

 

형개차 달이기 티포트 걸름망에 형개 4g을 넣고 물 600ml를 넣으면 형개가 자작자작 잠기는 상태가 된다. 이것을 한번 끓이면 거품이 많이 발생되어 넘치므로 끓이는 동안 지켜봐야 한다. 이것을 따듯할 때 마신다.

형개 4g(3년된 것) 600ml에 자작자작 잠긴 상태
끓이면 거품이 많아 발생 되어 넘치므로 지켜봐야 함 한번 끓인 상태의 색

 

증상에 따른 민간요법


감기·오한·열나기·두통
형개 6~12g을 물 200ml에 넣고 달여서 하루 3번 뜨거울 때 먹는다.
형개 40g을 물 400~500ml에 넣고 달여서 하루 2번에 나누어서 끼니 사이에 먹는다.

산후증
형개방풍을 각각 하루에 10g씩 물에 달여 3번에 나누어 식후에 먹는다.

쉰목失音
목이 쉬어 말할 수 없을 때 형개소엽을 진하게 달여 먹이면 즉시 효력이 있다.

안면신경마비
닭의 내장을 꺼낸 후 배 안에 고춧가루 100g, 잘게 썬 당귀 32g, 형개 16g을 넣어서 솥에 넣고 2시간 이상 푹 고아서 고기와 국물을 먹는다.

치질·아토피
3리터에 형개 4g을 고운 망(다시백 등)에 넣고 20분간 끓인 후 치질에는 좌욕 물로, 아토피에는 세안용 물로 활용한다. 물의 온도는 40~45가 적당하다.

 

형개의 다양한 활용


어린순
처음 났을 때는 향기롭고 매콤하여 씹을 만하다. 나물을 만들어 먹고 차를 달여 먹으면 머리와 눈을 이롭게 한다.

칡가루떡
7.2리터(4)에 형개 1 웅큼을 넣고 6~7번 끓인 후 찌꺼기는 버리고 맑은 물을 얻는다. 이 물에 칡가루 150g(4)을 부드럽게 섞고 반죽하여 떡을 만들고 이를 형개즙에 넣어 먹는다. 중풍에 걸려 심장과 비장에 열이 있으며 언어가 어눌해지고 정신이 심란해지며,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좋다.

형개죽
중풍을 치료하고 입과 얼굴이 마비되어 삐뚤어지고 대소변이 막히는 것과 번열을 치료한다. 형개 한 줌을 썰어 물에 삶아 즙을 취한다. 청량미 4홉 일은 것과 박하 잎 반 줌 썬 것, 면보에 싼 메주 5홉을 즙에 넣고 끓여 죽을 만든다. 소금과 식초를 조금 넣어 공복에 먹는다. 늘 복용하면 좋다.

계란구이
계란이나 오리 알을 여러 개 풀어 형개나 후춧가루를 넣고 골고루 섞어 놓는다. 죽통은 솥에 들어갈 만하게 잘라 반으로 쪼개고 그 속에 계란즙을 넣는다. 죽통을 단단히 묶고 입구를 단단히 틀어막아 봉하고 가마솥에 넣어 찐다. 익으면 꺼내 식힌다. 두부적처럼 되어 있으면 썰어 기름장을 발라 구이를 만든다. 생강이나 후추즙을 찍어 먹는다.

 

형개 관련 논문

(가나다 순)

형개가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이주엽, 황귀서2009대한예방한의학회지, 13(3): 127-138.

형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에 대한 원적외선 처리의 효과양한열, 백상민, 임영택, 박선형, 이종화, 이승철2013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9): 1357-1362.

난알부민으로 알레르기 비염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형개의 개선효과송대욱, 허준, 이성엽, 김재현, 이비나, 민주희, 김은영, 손영주, 정혁상2015대한본초학회지, 30(6): 39-46.

 

관련글 더보기